본문 바로가기

T money 카드&페이9

T머니 사용방법 - POP티머니에는 무슨 혜택이 있나요? 티머니 사용방법 - POP티머니에는 무슨 혜택이 있나요?POP티머니는 카드 1장으로 티머니 서비스와 POP카드의 혜택을 동시에 이용 가능한 카드입니다.티머니 혜택인 T마일리지 적립, 소득공제 등록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POP카드의 혜택인 GS&포인트 적립, 멀티 멤버십(해피포인트, 뷰티포인트 등), 추가포인트 적립 등의 자세한 혜택은 POP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.     티머니 사용방법 -  POP티머니 홈페이지(www.popcard.co.kr)에 가입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?POP카드의 혜택의 자세한 문의는 POP 고객센터로 문의 하시거나 POP카드 홈페이지(www.popcard.co.kr)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    티머니 사용방법 - POP티머니 홈페이지(www.popcard.co.kr)에.. 2025. 3. 2.
티머니 [사용방법] POP티머니 사용자입니다. T마일리지 사용 시, 비밀번호는 무엇인가요? T머니 [사용방법] POP티머니 사용자입니다. T마일리지 사용 시, 비밀번호는 무엇인가요?T마일리지를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에서 마일리지 서비스 등록 및 마일리지 충전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합니다.설정하신 비밀번호를 잊으셨다면, 재설정 후 이용 가능합니다.★ 마일리지 충전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방법 :티머니카드&페이(https://pay.tmoney.co.kr) 로그인→나의 티머니→마일리지 내역 조회→마일리지 내역 현황 하단의 [마일리지 충전 비밀번호 설정 메뉴]에서 비밀번호 설정  T머니 [사용방법]  할인등록 대상 연령은 어떻게 되나요?'교통 요금 할인등록 대상은 어린이 및 청소년으로 연령을 안내드리겠습니다.- 어린이: 만 6세 이상~ 12세 이하- 청소년: 만13세 이상~ 18세.. 2025. 2. 7.
티머니 [어린이/청소년] 통합권종 카드란? T머니 [어린이/청소년] 통합권종 카드란?일반, 청소년, 어린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카드에는 'ⓐ'가 표기되어 있습니다. (위치: 카드 후면 상단 위치)기본 요금은 일반요금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사용하는 경우, 반드시 구입처에서 사용자의 생년월일을 등록하셔야 연령에 맞는 요금을 적용 받으실 수 있습니다.단, 기타 판매처(지하철 역사 내 카드자동판매기, 가두 판매점 등)에서 구입한 경우 최초 사용 후 10일 이내에 홈페이지, 편의점, 지하철 역사 내 티머니 서비스 센터에서 생년월일을 등록하셔야 어린이 / 청소년 요금이 적용 됩니다. (미등록시 일반 요금 적용)   T머니 [사용방법] 티머니카드의 충전방법을 알려주세요.■ T마일리지 충전 방법- 인천 지하철 1~2호선의 역사 내.. 2025. 1. 28.
티머니 [어린이/청소년] 만 24세 고등학교에 재학중입니다. 청소년요금으로 할인 받을 수 있나요? T머니 [어린이/청소년] 만 24세 고등학교에 재학중입니다. 청소년요금으로 할인 받을 수 있나요?청소년 복지 지원법 시행령에 따라 고등학교이하에 재학중인 18세 초과 24세 이하인 청소년의 경우, 대중교통 요금을 청소년 요금으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 신청방법은 [티머니카드&페이 홈페이지(pay.tmoney.co.kr)> 이용안내> 티머니 각종 양식> 어린이 청소년 요금변경 신청서]를 다운로드 후 작성 및 재학증명서를 준비하신 다음에 고객센터(1644-0088)로 문의하시기를 바랍니다.    T머니 [어린이/청소년] 회원가입 이전 비회원으로 할인 등록한 카드가 조회되지 않아요.홈페이지 로그인 후 등록된 카드 현황에서는 비회원 할인 등록된 카드는 조회되지 않습니다.조회를 원하시면 로그인 상태에서 [어린이/.. 2025. 1. 13.
티머니 [어린이/청소년] 어린이 / 청소년 요금 적용 연령은 어떻게 되나요? T머니 [어린이/청소년] 어린이 / 청소년 요금 적용 연령은 어떻게 되나요?어린이 요금 만 6세 ~ 만 12세까지, 청소년 요금은 만 13세 ~ 만 18세까지입니다.어린이 / 청소년 요금은 나이에 따라 적용되므로 학년과 할인 요금이 일치하지는 않습니다.단, 요금 적용기준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 ※ 어린이 카드 사용자가 중학교에 입학했을 경우, 만 13세가 되는 시점부터 청소년 요금으로 적용(예: 6월 30일생은 7월 1일부터 요금 적용) ※ 대학생이 청소년카드를 사용하는 경우, 만 19세가 되는 시점부터 일반 요금으로 적용(예: 6월 30일생은 7월 1일부터 요금 적용) 또한 만 6세 미만의 미취학 아동은 보호자 1인 기준 미취학 아동 3인까지 버스/지하철/마을버스 무임탑승 가능합니다.단, 지.. 2025. 1. 8.
Mobile 티머니 - 휴대폰 소액결제로 모바일티머니 충전을 하려니, 제한이 되어 충전을 할 수 없습니다. 모바일 t머니 - 휴대폰 소액결제로 모바일티머니 충전을 하려니, 제한이 되어 충전을 할 수 없습니다.휴대폰 소액결제는 이동 통신사에서 지정하는 등급(가입기간/통신료 납부여부에 따름)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다릅니다. 아래 상황에 따라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 1. 첫 개통을 하시고 충전이 안되는 경우결제 대행사 정책에 따라 이통사 신규 가입 3개월 경과 후부터 휴대폰 결제가 가능합니다. 다른 결제 수단을 선택해 주세요. 2. 충전을 잘 하고 있었는데, 갑자기 충전이 안 되는 경우통신료 납부가 조금 늦어지거나, 안하신 경우 고객님의 등급에 변동이 발생합니다. 통신 요금을 완납하신 후, 이동통신사 등급이 복구 되었음에도 그 정보가 소액결제 관리 업체인 결제 대행사로 이관되지 않아 충전이 안 될 .. 2025. 1. 3.
모바일 티머니 - 한 카드로 여러 개의 휴대폰에 결제 설정 할 수 있나요? 모바일 T머니 - 한 카드로 여러 개의 휴대폰에 결제 설정 할 수 있나요?모바일티머니는 본인인증 후 이용이 가능하며, 본인 명의의 휴대폰이라면 결제 설정 가능합니다.    모바일 T머니 - 한 주민번호로 여러개의 휴대폰에 사용 설정할 수 있나요?모바일티머니는 본인인증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.한 분이 여러 기기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. 단, 다른 기기에서 동시 접속이 어렵습니다.다른 기기에 설치된 모바일티머니 앱에 접속 시 [휴대폰 본인 인증]이 진행되는 점 이용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.    모바일티머니 충전형 사용자도 후불청구형으로 전환이 가능한가요?모바일티머니 충전형 사용자도 후불청구형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.단, 현재 사용하시는 모바일티머니 충전형의 잔액을 전액 환불 후 전환 신청이 가능합니다.환불 .. 2024. 12. 8.
모바일 티머니 - USIM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? 모바일 T머니 - USIM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?모바일티머니는 티머니의 품질 기준으로 인증된NFC 기능이 지원되는 단말기에 티머니 NFC USIM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.티머니 미지원 안드로이드 단말기이거나 티머니 유심칩이 아닌 경우,티머니페이 [터치결제]로 대중교통 등 티머니 사용처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   모바일티머니에 충전 할수 있는 한도가 있나요?모바일티머니 APP상 충전할 수 있는 한도는 1회 9만 원, 1일 20만 원, 월 100만 원 입니다. 오프라인 충전은 APP상 충전할 수 있는 한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단, 모바일티머니의 최대 잔액 보관 한도는 50만 원입니다.    모바일 T머니 - 선물하거나 선물을 받을때 한도금액이 있나요?선물 주고 받기는 별도의 횟수 제한은 .. 2024. 11. 18.
모바일 티머니 - 모바일티머니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? 모바일 T머니 - 모바일티머니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?모바일티머니는 휴대폰으로 다양한 티머니 제휴 가맹점(대중교통/택시/편의점 등)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참고로, 모바일티머니 APP을 통해 휴대폰에서의 잔액 확인 및 충전 등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 모바일티머니 앱 실행 시 파란색 카드 이미지의 [티머니페이 교통 카드]가 확인된다면, 티머니페이 [터치결제]로 대중교통 등다양한 티머니 가맹점에서 이용해 주세요. ■ 모바일티머니 APP 다운로드* 원스토어/플레이스토어에서 '티머니'를 검색> 모바일티머니 APP 다운 ■ 휴대폰 환경 설정에서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NFC 기능을 On해야 대중교통 내 단말기에 찍으실 수 있습니다.    모바일 T머니 - 충전이용료 부담Zero.. 2024. 11. 3.